공지사항

보도자료

[중기봉사단]대사협 WFK 청년중기봉사단 ‘KOICA 그린봉사단’, 환경 해외봉사활동 성료

작성자
한국대학사회봉사협의회
작성일
23-05-03
조회수
1,149

4개국 8개 팀 이뤄, 국가 별 현장 답사 진행
5개월 동안 온·오프라인으로 봉사 활동 펼쳐

한국대학사회봉사협의회 WFK 청년중기봉사단(한국국제협력단 그린봉사단)이 캄보디아에서 그린스카우트가 분리배출 봉사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한국대학사회봉사협의회)한국대학사회봉사협의회 WFK 청년중기봉사단(한국국제협력단 그린봉사단)이 캄보디아에서 그린스카우트가 분리배출 봉사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한국대학사회봉사협의회)

[한국대학신문 정혜정 기자] WFK 청년중기봉사단(KOICA 그린봉사단)이 4개국(몽골·이집트·캄보디아·키르기스스탄)에서 8개 팀을 이뤄 봉사 활동을 실천하고 해단식을 가졌다.

지난 1월 12일 열린 ‘KOICA 그린봉사단 해단식’은 온라인 메타버스 방식으로 진행됐다. 그린봉사단과 함께한 몽골 국제울란바타르 대학교, 이집트 아인샴스 대학교 등 6개 활동기관 관계자와 온·오프라인 블랜디드(혼합)형 해외봉사활동을 수행한 봉사단원 50명이 참석했다. 또한 지난 5개월간 함께한 국별 환경 자문위원도 함께했다.

KOICA 그린봉사단은 한국국제협력단이 주관하고 한국대학사회봉사협의회가 시행하는 사업이다. 작년 여름 국내교육과 활동계획수립을 거쳐 12월31일까지 5개월 동안 온·오프라인 봉사활동을 펼쳤다. 특히 지난해 11월 4개국 8개 팀이 국가별 현장답사를 다녀왔다.

온라인 해외 봉사현장을 오프라인으로 확대·심화시켜 효과성을 높인 국가별 현장답사는 △몽골 ‘교내외 환경포럼 실시’△이집트 ‘모의 COP27 실시·COP 참석’ △캄보디아 ‘그린스카우트 선서식·아나바다 바자회’ △키르기스스탄 ‘에코투어리즘 환경활동’ 등으로 운영됐다.

몽골 현지에서는 공통활동과 팀별 활동을 병행하며 △비건소개 △소셜다이닝 △수경재배기 설치 △글로벌 환경 이슈에 대해 토론 시간 등을 가졌다.

이집트 현지에서는 아인샴스대학 학생들과 함께 COP27의 부대행사(Side Event)가 열리는 Green Zone 행사에 참여했다. 해외 △NGO △대학 △공공·민간 기관 프로그램 등을 참관하고 국내 환경부문 전문가 및 해외 청년 대상 인터뷰를 실시했다. 이를 통해 한국대표단(전문가)의 활동과 국제 환경이슈를 이해하고, 단원들의 글로벌 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됐다. 그 외 산림청 주재 환경포럼에 참석하는 등 한국의 산림 ODA 사업 및 추진 방향을 학습하기도 했다.

캄보디아 현지에서는 환경 스카우트 선서식을 통한 책임감을 고취시켰다. 특히 교내·외 플로깅을 통해 우리학교와 지역환경 개선에 기여하고 수집한 쓰레기를 직접 분리 배출하여, 분리배출·분리수거에 대한 인식을 제고했다. 또한 아나바다 바자회 행사로 재사용 방안을 마련했다.

키르기스스탄 현지에서는 환경바자회와 친환경 양초만들기 같은 활동프로그램과 현지 재활용업체(Tazar)와 연계된 교내·외 환경 플로깅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더불어 샤브단 마을의 환경벽화 그리기, 재활용 분리수거함 설치 등을 참여했다. 이후 약 1주간의 현장답사와 국가별 결과공유회를 마련해 성과 공유와 잔여기간 활동 피드백 시간을 가졌다.

한영태 대사협 사무국장은 “환경에 대한 인식개선과 타 국가 문화와 환경을 경험함으로써 나눔의 가치와 중요성을 몸소 느꼈을 것”이라고 말하며 “앞으로도 환경행동가로서 발전해나가길 바란다”고 밝혔다.

WFK 청년중기봉사단 관계자는 “3개국을 대상으로 한 6개 현장사업 지원은 몽골 ECO 스마트 플라자 개소, 캄보디아 스마트 그린실 조성, 키르기스스탄 KOICA 실크로드 문화관광지 간 에코투어리즘 연계사업 홍보 등이었으며, 활동기관의 높은 의지와 현지의 적극적인 참여로 당초 목표보다 큰 성과를 도출했다”고 밝혔다.

온라인 메타버스 방식으로 진행된 대사협 WFK 청년중기봉사단(KOICA 그린봉사단) 해단식의 모습온라인 메타버스 방식으로 진행된 대사협 WFK 청년중기봉사단(KOICA 그린봉사단) 해단식의 모습

해단식은 △인증서 수여 △환경자문위원 깜짝 축하영상 △활동팀별 활동·사업성과 발표 △우수단원 표창(우수교안·에세이·UCC) 시상 순으로 진행됐다.

 

출처 -한국대학신문 - 409개 대학을 연결하는 '힘'(https://news.unn.net) https://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545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