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개발 NGO의 도전: 제약과 기회 (2009)
The Challenges of Korean Development NGOs: Constraints and Opportunities
(손혁상 · 유영학,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09년 1월)
-목차
Ⅰ. Introduction
Ⅱ. NGOs and Development: diverse perspectives
Ⅲ. Korean development NGOs
Ⅳ.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KOICA and development NGOs
Ⅴ. Concluding remarks
-국문초록
이 글은 한국의 개발NGO의 역사적 발전과 현재의 상황을 분석하여, 한국개발 NGO의 한계와 기회를 파악하고자 한다. 그동안 국제사회에서는 정부나 정부기관에 의해 행해지는 공적개발원조(ODA)사업에 주된 관심이 모아졌지만, 1980년대에 이르러 NGO가 개발주체로 인식되면서 이들의 사업이 주목을 받게 되었다. 또한 지난 20여 년간 NGO의 개발원조 활동은 긴급구호와 다른 개발 사업영역에서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었고, 한국의 경우에도 NGO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개발NGO의 역사적 발전과 현재의 상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의 개발 NGO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즉, 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 변모한 한국의 특수한 역사적 배경아래, 개발NGO의 역사적 발전과 이들의 종류, 사업 규모와 내용을 알아본다. 그리고 한국의 대외 무상원조를 담당하는 KOCIA(국제개발협력단)과의 관계를 파악한다. 이로써, 이들이 국제개발협력 무대에서 하나의 개발주체로서 활약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